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정렬
- 파이썬
- 백준
- Virtual Memory
- backtracking
- two pointer
- Python
- 알고리즘
- 브루트포스
- Github
- 재귀
- python3
- Loss
- 프로그래머스
- 머신러닝
- 백트래킹
- 코테
- 1일1솔
- dfs
- 코딩테스트
- ML
- BF
- 재귀함수
- 신나는함수실행
- sort
- 완전탐색
- Algorithm
- 투포인터
- CS
- OS
- Today
- Total
목록itertools (2)
이것저것 공부 기록하기

문제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15649 15649번: N과 M (1) 한 줄에 하나씩 문제의 조건을 만족하는 수열을 출력한다. 중복되는 수열을 여러 번 출력하면 안되며, 각 수열은 공백으로 구분해서 출력해야 한다. 수열은 사전 순으로 증가하는 순서로 출력해 www.acmicpc.net 문제설명 자연수 N과 M이 주어졌을 때, '1부터 N까지 자연수 중에서 중복 없이 M개를 고른 수열' 조건을 만족하는 길이가 M인 수열을 모두 구하는 문제이다. 문제 분류는 백트래킹으로 되어있지만, 중복 없이 일정한 개수의 자연수가 담긴 수열을 구하며, 순서를 상관하여 수열을 다르게 취급한다는 점에서 순열을 이용해서 풀이할 수도 있다. 문제풀이 1. 순열 이 문제에서는 수열을 순서가 다..
하나 혹은 여러 개의 리스트가 주어졌을 때, 해당 리스트 내의 값들로 특정 경우의 수를 구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리스트가 있다고 해봅시다. fruits_li=['사과', '배', '바나나'] 이 중 2개의 과일을 고르는 수는 몇 가지일까요? 그렇게 어려운 문제처럼 보이진 않습니다. 하지만 리스트가 늘어나면 어떨까요? fruits_li=['사과', '배', '바나나'] bread_li=['식빵', '소보루빵', '크림빵'] drink_li=['주스', '맥주', '요거트'] 위의 리스트 내의 값들로 특정 경우의 수를 구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파이썬 라이브러리 itertools에는 여러 가지 내장함수가 존재하고, 순열(permutation)과 조합(combination)도 있습니다. 다음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