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재귀
- dfs
- 파이썬
- 코딩테스트
- Virtual Memory
- 프로그래머스
- 머신러닝
- 코테
- CS
- Python
- python3
- two pointer
- 브루트포스
- Algorithm
- ML
- 알고리즘
- BF
- backtracking
- 투포인터
- 완전탐색
- OS
- 신나는함수실행
- 재귀함수
- 1일1솔
- 백준
- sort
- 백트래킹
- 정렬
- Loss
- Github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가상 메모리 (1)
이것저것 공부 기록하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pmQIA/btq5aNocWQc/xgJdfmELjdNx38DvomhtT0/img.png)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 System) 배경 실제 각 프로세스마다 충분한 메모리를 할당하기에는 메모리 크기가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리눅스는 하나의 프로세스가 무조건 4GB의 영역을 갖는다. 통상 메모리는 8GB? 16GB? 32GB 정도 되니까 프로세스가 통째로 다 올라가게 되면 프로세스를 각각 2개,3개,4개 정도밖에 실행하지 못하게 된다. 폰노이만 구조 기반이므로, 모든 코드는 메모리에 반드시 있어야 한다. 그 메모리에서 코드를 한 줄, 한 줄 가져와서 CPU가 실행을 한다. 따라서 메모리와 프로세스의 dependency가 크다. 그런데 멀티프로세싱이나 멀티태스킹의 장점은 프로세스를 여러 개 실행시킬 수 있다는 건데... 어떻게 하면 적은 메모리에서 많은 프로세스를 실행시킬 수 있..
CS/OS
2021. 5. 17. 21:22